Chelsea Simpson

[자기계발]우아한 관찰주의자 by 에이미 E.허먼

by 첼시

반응형

에이미 E.허먼 Amy E.Herman

미술사가이자 변호사. 

프릭 컬렉션에서 교육 책임자로 일하며 의대생들의 관찰 기술을 향상한 프로그램 ‘지각의 기술(The Art of Perception)’을 만들었다. 뉴욕의 7개 의과 대학에 프로그램을 확대한 후 10년이 넘도록 의사들에게 환자기록이 아니라 환자를 직접 관찰하는 법을 가르치고, 경찰에게는 범죄 수사 때 사실과 의견을 구별하도록 도와주며, 그 밖에 FBI, 미 국무부, 포천 500대 기업, 군인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더 명확히 지각하고 소통하는 방법을 가르치고 있다. 

그의 강의는 우리가 놓칠 법한 물리적 대상 그 이상을 강조하고 날마다 우리를 둘러싼 재능과 기회와 위험을 알아채는 법을 알려준다. 그 강의를 바탕으로 한 이 책은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선명하게 알아보는 법을 제시한다. 저자는 라파예트 칼리지에서 국제업무 학사학위를 받았고 조지워싱턴 대학교 국립법률센터에서 법학박사, 헌터 칼리지에서 미술사 석사학위를 받았다.

-본저 책날개에서 인용


나는 책을 다 읽은 뒤에야 비로소 책 분류라든지 저자 약력을 확인하는 편인데, 아마 책을 구입하기 전에 이 정보를 접했더라면 사지 않았을 것이다. 내가 제일 내켜하지 않는 장르가 '자기계발서'이고, 아주 꺼리는 단어가 '소통'이기 때문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런 사전정보를 살펴보지 않은 것이 오히려 내게는 도움이 되었다. 이 책이 내가 회피하는 요소들의 집합체라는 걸 알았으면 구입하지 않았을 것이고, 그랬다면 재미있는 단행본 하나를 놓쳤을테니 말이다.


관찰의 기술 : 평가부터 적용까지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있는데, 1부 평가하기, 2부 분석하기, 3부 설명하기, 4부 적용하기 순으로 이어진다. 각 부의 제목 아래에는 소분류 목차가 상세히 달려있어서, 책을 다 읽은 독자가 필요한 내용만 발췌독할 수 있도록 정리되어있다. 원서 역시 이런 구성인지는 모르겠지만, 묘하게 친절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웃었다. ㅋㅋ


먼저 검은 옷의 중년 여인이 들어왔다.

"파이프는 어디 있습니까?" 강연자가 물었다.

여자는 놀랐다. 그는 여자에게 파이프가 있는 줄 어떻게 알았을까? 여자는 놀란 얼굴로 핸드백에서 작은 사기 파이프를 꺼냈다. 그는 넋이 나간 학생들에게 말했다. "내가 이 환자에게 파이프가 있다는 걸 어떻게 알았을까요? 파이프를 보아서가 아니라 환자를 관찰했기 때문입니다. 아랫입술의 작은 궤양과 뺨의 반질거리는 흉터를 봤거든요. 담배를 피울 때 뺨에 가까이 붙여서 쓰는 짧은 파이프를 자주 사용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흔적이지요."

-본문 p.49에서 인용

호리호리하고 날카로운 외모, 처음 만나는 외래환자의 직업, 신분, 병력 등을 차트 한 번 펼쳐보지 않고 단번에 맞히는 재주! 이 부분을 읽으면서 가벼운 전율이 일었다. 분명히 그는 도일의 스승인 조지프 벨 박사일 것이다...라고 생각하며 다음 장을 넘겼고 역시 내 예감은 맞았다! :D 이 책을 사면서 홈즈, 그리고 그의 모델이 된 벨 박사를 생각했는데 이렇게 책에 언급된 내용을 보니 너무 기뻤다.

조지프 벨 박사와 마찬가지로 도일의 작품 속 홈즈의 추리는 범인(凡人)을 당혹스럽게 하는 면모가 있다. 주전자를 물끄러미 들여다보다가 왓슨의 고민거리를 콕 짚는다든지, 부재중에 다녀간 의뢰인이 흘린 지팡이만 보고 그의 직업과 성격을 추론해내는 등 그의 사고는 마술처럼 불쑥 등장하는 것 같아 보인다. 하지만 그는 딱히 속임수를 쓴 것도, 남들이 모르는 뒷조사를 한 것도 아니다.

저자는 '방 안의 고릴라', '케네스 콘리 경찰' 등 다양한 '무주의맹시(inattentional blindness)' 사례를 들어 무의식적으로 보는 행위와 '관찰'이 다른 개념임을, 구분해야할 것임을 설명한다. 사람은 일반적으로 자신이 보고 싶어하는 요소에만 주목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어떤 대상이 눈앞에 똑똑히 드러나있고, 그걸 바라보고 있다고 해도 반드시 그 대상을 '보는' 건 아니라는 것이다.


익숙한 것을 낯설게 보기, 혹은 낯선 것을 익숙한 기법으로 파헤치기

어떻게 하면 편견과 선입관과 상상력을 배제하고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을까? 허먼은 그 해답으로 미술 작품 분석을 통한 훈련을 제시한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법의학 내지는 수사 기법이 주된 내용이지 않을까 했다. 그런데 막상 펼쳐보니 다양한 미술 작품을 소개하면서 어떤 시각으로 그것을 분석해야 하는지, 그리고 그 기법을 실생활에서는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상당 부분을 할애하고 있어서 의외였다.

저자는 미술사가 데이비드 조슬릿의 말을 빌려 "미술은 경험과 정보가 엄청나게 비축된 대상"이라고 말한다. 일상에서는 벗어난, 미술 작품 특유의 소재와 구도와 색감은, 일종의 불편함을 조성하여 두뇌를 자극하고, 새로운 사고 과정을 이끌어낸다. 이러한 '낯설게 하기'를 통해 우리는 일상에 돌아왔을 때, 단순하고 익숙한 상황 속에서도 객관적인 정보를 수집하고, 효율적인 추론을 할 수 있게끔 훈련을 받는 셈이다.


위에서 적었듯이 이 책에는 다양한 미술 작품이 등장한다. 관찰과 분석 기법이 내용의 대부분을 차지할 것이라고 예상했는데, 의외로 그림을 제시하고, 분석하고, 비교하는 데 많은 분량을 할애한다. 특히 르네 마그리트와 에드워드 호퍼의 작품이 여러 번 등장하는 게 인상 깊었는데, 전자는 초현실주의의 대표주자라고 할 수 있는 거장이고, 후자는 당대 현실을 반영하는 사실주의적 작가여서, 둘의 작품 세계가 대비되는 것이 재미있었다. 착시화로 유명한 주세페 아르침볼도를 이 책에서 오랜만에 만날 수 있는 것도 좋았고, 마네, 모네와 클림트의 작품도 반가웠다.

블로그의 정보

Chelsea Simpson

첼시

활동하기